WSL3 [DevOps] 6. jenkins connect with GitHub (2) 이제 jenkins까지 기본설치를 완료하고 접속이 되었기 때문에, 이제 GitHub와 연동하여 자동 빌드 및 배포환경을 구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자신이 개발하고 있는 Project type도 꼭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우선 SpringBoot에 Maven build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jenkins에서도 Maven Project Build가 가능한 Plugin이 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설치를 해야 합니다. 1. Maven Integration Plugin 우선 jenkins에 접속합니다. 좌측메뉴를 보면 [Jenkins 관리] 메뉴가 있습니다. 그것을 선택하고 나타나는 오른쪽 화면에서 [플러그인 관리]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Plugin Manager로 들어가게 됩니다. 보시면 4가지 메뉴.. 2022. 4. 7. [DevOps] 3. SpringBoot docker image build & run 지난 시간에는 wsl2로 Ubuntu OS가 설치된 가상의 서버를 생성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Ubuntu server에 docker 환경을 구성하였습니다. 이번에는 SpringBoot로 만든 간단한 application을 docker image로 빌드하고 그것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이 글을 읽어보는 분들을 위해서 기본 SpringBoot 개발환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jdk 1.8.0_322-1 (LTS, supported until May 2026, announcement) spring-tool-suite-4-4.14.0.RELEASE-e4.23.0-win32.win32.x86_64 maven (spring-starter) 기존에 작성했던 글도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 2022. 4. 4. [DevOps] 1. wsl 구성하기 DevOps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그래도 1대 이상의 서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저는 wsl2를 활용해서 Linux server를 구성해 보겠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환경이 windows이기 때문에 wsl을 통해서 Linux를 설치하여 가상 환경을 구성해 보는 것 입니다. Windows Subsystem for Linux는 Windows 10버전 2004 이상(빌드 19041 이상) 또는 Windows11에서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Windows버튼 + R을 선택하고, winver를 입력하면 됩니다. 1. wsl 설치 이제 PowerShell이나 cmd를 띄워서 설치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우선 현재 설치된 wsl이 있을 수 있으니 아래 명령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wsl --list --.. 2022. 4. 2. 이전 1 다음